상세과목 소개
- 기초디자인(Introduction to Architectural Interiors)
생활공간 창조를 위한 디자인 요소와 원리의 기본 개념을 바탕으로 디자인 과정에서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고 표현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훈련하며, 창의적 발상의 유도와 시각적 표현 능력을 개발하고 훈련한다. 공간 디자인에 대한 목표 설정에서 시각화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경험한다. - 공간과디자인(Introduction of Space Design)
건축 및 실내건축의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공간과 디자인에 대한 관점을 고찰하고 공간에서의 기하학적 영역의 상관관계와 3차원적 조형물의 형성과정을 이해한다. - 주거와 문화(Housing and Culture)
삶의 근거지가 되는 주택과 주거, 그리고 그를 바탕으로 우리의 생활을 지원하는 주거환경을 중심주제로 삼아, 주거 및 주거환경과 주거문화간의 상호관계를 거시적, 미시적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주거환경과 주거문화의 이해를 목표로 한다. - 실내디자인CAD (Ⅰ) (Introduction to CAD (Ⅰ))
실내디자인 도구로서 다양한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고 표현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훈련한다. 2D 및 3D 작업과정을 숙달시키고 다양한 표현기법을 통하여 디자인 개념 및 목표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 방법을 훈련한다. - 설계제도(Architectural Drawing)
실내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창의성을 증진시키며, 물체와 공간의 묘사를 위해 필요한 기본 제도법과 다양한 표현법, 도면의 작성법 등을 습득하고 실습을 통해 익힘으로써 주택설계에 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주거와커뮤니티(Housing and Community)
주거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의 공동체를 이루어가기 위한 개념과 다양한 방법을 학습하고, 공동체 형성에 기여하는 공간 중심의 커뮤니티 계획기술 그리고 프로그램의 기획과 실행전략을 익힌다. - 실내건축계획론(Theory of Interior Architecture)
실내공간에 대한 이해와 디자인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데 필요한 이론적 지식과 논리적 사고력을 키우기 위해, 공간의 유형별 디자인 프로세스를 연구하며 실무과정에서 필요한 문제해결능력과 윤리적 태도를 훈련한다. - 실내환경론(Environmental Science of Housing)
보다 쾌적한 주거건축환경 창조를 위해 인간·환경 상호관계측면에서 포괄환경을 학습하고, 환경 및 에너지라는 새로운 건축 및 실내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주거환경에 대한 물리적 환경인자의 영향과 이에 대한 조절 및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 환경디자인심리학(Environmental Psychology for Design)
인간을 위한 실내건축디자인을 실천하기 위하여 인간-환경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초이론을 학습하고, 공간지각 및 공간인지 이론을 통하여 인간의 공간사용 행태를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 실내디자인사(History of Interior Design)
인간의 다양한 디자인 활동이 역사적 배경과 더불어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를 이해하고, 기존의 실내디자인 양식과 새로운 양식의 발달 배경 및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창의적 디자인의 기초를 마련한다. - 공간디자인스튜디오(Advanced Space Design)
주택설계 및 실내디자인에 대한 제반 이론, 디자인프로세스 그리고 표현 기법을 통합발전시킴으로써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공간디자인 과제를 실습한다. - 졸업작품(캡스톤디자인(II)) (Advanced Housing and Interior Design Studio(Capstone Design(II)))
주택설계 및 실내디자인 이론을 종합하여 졸업작품을 설계하고 디자인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효과적, 통합적 방법에 관하여 연구한다. - 환경색채학(Environmental Color Study)
색채의 미적, 심리적, 물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색채계획을 위한 기초이론을 습득하고 색채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이해함으로써, 실내디자인 도구로 색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 실내디자인스튜디오(I) (Interior Design Studio(I))
주거공간실내디자인의 과정, 실내구성요소와 디자인 원리를 이해하고 거주자 요구에 대응하는 주거환경을 디자인 한다. - 실내디자인CAD (Ⅱ) (Introduction to CAD (Ⅱ))
다양한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활용한 고급의 실내디자인 표현방법을 학습한다. 조명과 색채의 효과, 마감재의 재질에 따른 공간의 표현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 공간조형론(Theory of Space Design)
현대작가를 중심으로 한 최근에 나타나는 새로운 디자인의 경향을 토론하고 전문적인 설계기술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형태구성기법들을 총체적으로 연구한다. - 가구디자인과문화(Furniture Design and Culture)
인간의 다양한 삶의 방식을 정의하는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생활방식, 가치관, 역사, 자연, 기술 등 문화와 관련된 광범위한 개념들이 가구디자인으로 표현되는 과정과 인간의 다양한 생활을 담아내는 가구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가구디자인에 있어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한다. - 한국의전통주택(Korean Traditional Housing)
한국주거의 발달, 변천과정을 원시시대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물리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변천과정에서 나타나는 한국주거의 특성을 파악함과 아울러 앞으로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모색한다. - 실내디자인스튜디오(II) (Interior Design Studio(II))
상업공간의 유형 및 디자인 특성을 이해하고 식음료공간 및 판매공간 등을 대상으로 실제 실내디자인 과제를 실습한다. - 디자인인간공학 (Design Ergonomics)
인간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에 관한 기초 이론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공간의 구조와 배치방법을 학습함으로써 인간 특성에 대응하는 기능적 디자인을 위한 능력을 습득한다. - 실내건축재료 (Interior Design Materials)
주거공간의 구성에는 합리적인 구조공법과 제 특성에 맞는 재료의 사용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구조재에서부터 마무리재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재료의 가공법과 특성을 파악하고, 각 요소에 맞는 재료를 선택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며, 그 시공법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 가정교육론(Home Economics Education)
가정과 교육의 본질을 이해하고, 가정과 교육의 역사적 변천을 살펴보며 가정과 교육의 현황과 방향을 파악하여 각 발달단계의 특성과 가정과 교육의 방향, 교과운영의 실제, 가정과 교육의 과제와 전망 등을 다룬다. - 실내디자인스튜디오(Ⅲ) (Interior Design Studio(Ⅲ))
업무공간의 유형 및 디자인 특성을 이해하고 사무실 및 작업공간 등을 대상으로 실제 실내디자인 과제를 실습한다. - 실내디자인스튜디오(Ⅳ) (Interior Design Studio(Ⅳ))
특수공간의 유형과 실내환경의 특성을 이해하고 일반주거, 상업공간, 업무공간 이외의 특수한 환경을 요구하는 의료시설, 전시공간 등을 대상으로 실제 실내디자인 과제를 실습한다. - 환경디자인리서치(Environmental Design Research Method)
실내디자인 아이디어를 개발하기 위한 브레인스토밍과 컨셉맵핑을 비롯하여, 디자인 과정의 실제적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접근방법에 대하여 이해하고,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을 위한 다양한 기술을 습득한다. - 디지털표현기법(Digital Presentation Methods)
Computer Simulated Image의 도움을 받아 공간 속에서 이동하는 인간의 행동을 예측하고, 이를 통하여 공간의 규모나 배치를 결정하는 디자인을 배운다. 따라서 이 강의는 형태를 생성하는 규칙을 배우며, 또한 이용자의 행동 특성을 설계에 반영하기 위해 생성한 형태를 인간의 생활 속에서 평가하고, 나아가 디지털 프로세스를 통해 표현 기술을 개발한다. - 실내건축구조및설비(Structure and Environmental Technologies for Interior Architecture)
실내건축에 관련하는 다양한 구조와 그 특성을 파악하고, 구조계획에서부터 각부 상세에 이르기까지의 가장 합리적인 구조법에 대해서도 모색한다. - 조명디자인(Interior Lighting)
빛에 대한 시각과 행동의 원리를 이해하고 자연/인공광원, 빛의 측정 및 조절, 조명계획방법, 조명효과/기능을 학습함으로써 인간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쾌적한 조명환경을 창출하는 능력을 기른다. - 실내디자인창업마케팅(Interior Design Start-up Marketing)
실내디자인 사무소, 디자인리서치 관련 기업 창업을 위한 기초강좌로서, 사용자/소비자 요구에 대응하는 실내디자인의 기획 및 평가를 위한 이론적 접근 방법 및 실제적 전략에 대하여 학습하고, 목표설정과 의사결정 방법, 고객으로서 사용자와의 의사소통과 상담 절차, 인적·물적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실내디자이너의 책임 및 역할에 관하여 논의한다. - 현대실내건축디자인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20세기 후반 이후 실내건축 및 디자인분야의 주요 경향을 이해하고 대표적 공간과 디자인 작품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근대 이후의 실내공간의 변화와 미래의 공간을 예측하는데 중점을 둔다. - 공간환경과복지(Environment and Housing Welfaer)
공간환경의 개념과 공간환경계획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기초로 주거복지 개념의 출발과 정의, 주거복지의 범위와 대상, 주거복지 관련 용어와 지표에 대한 이론지식을 습득하고 각국의 주거복지정책과 실태 등 제도적, 공간계획적 특성과 다양한 실천적 개선방법을 학습한다. - 실내디자인현장실습(Professional Practice of Interior Design)
주거환경 및 실내디자인 관련 산업체, 연구소 등에서 근무함으로써 현장업무를 파악하고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 도시와공공디자인(Design and Public Spaces in City)
현대도시를 구성하는 사람, 건축, 주거, 오픈 스페이스, 교통, 역사, 문화, 자연환경 등 다양한 활동적 공간과, 이들이 만들어내는 도시의 경관 및 이미지를 주제로 매력 있는 도시공간 및 환경 창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 실내환경세미나(Advanced Interior Environmental Technologies)
물리적 환경과 인간행동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간공학적, 환경심리적, 환경공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주거환경 및 실내디자인 사례를 분석하고 논의한다.